
영국에는 국민 모두가 긍지를 가지고 지켜 내려오는 전통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버큰헤이드호(號)를 기억하라'는 말입니다.
영국인들은 항해 도중 재난을 만나면 선원이나 승객 할 것 없이 서로서로 상대방의 귀에 대고 조용하고 침착한 음성으로 "버큰헤이드호를 기억하라."고 속삭입니다. 이 전통 덕분에 오늘날까지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생명이 죽음을 모면해왔습니다.
일찍이 인류가 만든 많은 전통 가운데 이처럼 지키기 어려운, 또 이처럼 고귀한 전통은 다시 없을 것입니다. 이는 실로 인간으로서 최대한의 자제와 용기를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야기는 173년 전인 185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영국 해군의 자랑으로 일컬어지던 수송선 '버큰헤이드호'가 사병들과 그 가족을 태우고 남아프리카를 향해 항해하는 중이었습니다. 배에 타고 있던 사람은 모두 630명으로, 그 가운데 130명이 부녀자였습니다.
그런데 배가 아프리카 남단 케이프타운으로부터 약 65km 가량 떨어진 해상을 지날 때 그만 커다란 바위에 부딪히는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사람들이 곤한 잠에 빠져 있던 새벽 2시의 일이었습니다. 선실과 갑판은 곧 아수라장이 되고 말았습니다. 부서진 판자에 걸려 넘어지는 사람, 기어서라도 갑판으로 나가려는 사람, 우는 사람, 기도하는 사람....
그때 큰 파도가 밀려와 버큰헤이드호는 다시 한번 세게 바위에 부딪혔습니다. 배는 이제 완전히 허리통이 끊겨 침몰되어가고, 사람들은 그 사이 가까스로 배꼬리(후미) 쪽으로 피신했지만 목숨이 경각에 달려 있는 상태였습니다.
게다가 선상의 병사들은 거의 모두가 신병들이었고 몇 안 되는 장교들도 경험이 많지 않은 젊은 사관들이었습니다. 구명정은 3척밖에 없었는데 1척당 정원이 60명이니 구조될 수 있는 사람은 180명 정도가 고작이었습니다.
배는 시간이 흐를수록 물 속으로 가라앉았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풍랑은 더욱더 심해졌습니다. 더구나 이 해역은 사나운 상어가 우글거리는 곳이었습니다. 죽음에 직면한 승객들의 공포는 극에 달했습니다.
사령관 시드니 세튼 대령은 전 병사들에게 갑판 위에 집합하도록 명령을 내렸습니다. 수백 명의 병사들은 사령관의 명에 따라 마치 아무런 위험도 없는 훈련인 것처럼 민첩하게 집합하여 열을 정돈하고 나서 부동자세를 취했습니다.
그 동안 다른 한편에서는 횃불을 밝히고 부녀자들을 3척의 구명정으로 하선시키는 작업이 착착 진행되었습니다. 마지막 구명정이 버큰헤이드호를 떠날 때까지 갑판 위의 사병들은 꼼짝 않고 서 있었습니다. 구명정에 옮겨 탄 부녀자들은 갑판 위의 병사들을 바라보며 흐느껴 울었습니다.
마침내 버큰헤이드호가 파도에 휩쓸려 완전히 침몰했습니다. 열을 지어 서 있던 병사들의 머리도 모두 물 속으로 잠기고 말았습니다. 얼마 후 몇몇 사람이 수면 위로 떠올라왔습니다. 용케 물 속에서 활대나 나무판자를 잡은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날 오후 구조선이 도착하여 살아 있는 사람들을 구해 냈지만 그것은 이미 436명의 목숨이 수장된 다음의 일이었습니다. 그 와중에 사령관 세튼 대령도 죽었습니다. 목숨을 건진 사람 중 하나인 존 우라이트 대위는 나중에 이렇게 술회했습니다.
"모든 장병들의 의연한 태도는 훈련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을 거라 상상하는 바를 훨씬 뛰어넘는 것이었습니다. 모두가 명령대로 움직였고 누구 하나 불평하지 않았습니다. 그 명령이라는 것이 곧 죽음을 의미하는 것임을 알면서도 마치 승선 명령이나 되는 것처럼 철저하게 준수하였습니다"
이 사건은 영국은 물론 전세계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버큰헤이드호에서 죽어간 사람들의 명복을 비는 기념비가 각지에 세워졌습니다.
이전까지는 배가 해상에서 조난할 경우 제 목숨부터 구하려는 큰 소동이 벌어지곤 했습니다. 즉 힘센 자들이 구명정을 먼저 타고 연약한 어린이와 아녀자들이 남아 죽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1852년 버큰헤이드호에 의해서 '여자와 어린이가 먼저'라는 훌륭한 전동이 이루어졌고, 그 후로는 죽음 앞에서도 명예롭고 의연하게 혼란을 축소함으로써 여자와 어린이는 물론 수많은 인명을 살려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나니.”(요한복음 15:13)
1852년, 남아프리카 해역에서 조난당한 영국의 수송선 버큰헤이드호는 그날 새벽, 배가 바위에 부딪혀 침몰해 가던 순간, 세상의 어떤 규칙보다 위대한 질서가 그곳에서 세워졌습니다. “여자와 아이들이 먼저.” 구명정은 단 3척이고 구조될 수 있는 사람은 겨우 180명 이었습니다.
병사들은 단 한 명도 먼저 타려 하지 않았습니다. 부녀자들이 모두 배를 떠날 때까지, 그들은 꼼짝 않고 갑판에 서 있었습니다. 그리고 조용히 물속으로 사라졌습니다. 명예와 사랑과 책임감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죽음을 앞두고 두려움보다 용기, 혼란보다 질서, 자기보다 타인을 우선했습니다. 그 모습은 마치, 자기 생명을 우리를 위해 내어주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떠오르게 합니다.
세상은 점점 자기중심적이 되어가고, 위기의 순간일수록 사람들은 더 먼저 살려고 애를 씁니다. 하지만 진정한 생명은, 자기를 부인하고 다른 이의 생명을 귀히 여길 때 드러납니다.
오늘 우리는 과연 어디에 서 있습니까? 버큰헤이드호의 병사들처럼, 내 자리를 지키며 누군가를 위해 양보하고 희생할 수 있는 사람입니까? 우리 삶에도 갑작스레 밀려오는 파도와도 같은 위기의 순간들이 있습니다. 그때 우리는 두려움과 자기보호 본능 앞에 무릎 꿇을 것인가요? 아니면 믿음과 사랑으로 담대히 ‘서 있을 자리’를 지킬 수 있을까요?
그리스도인은 선한 질서와 희생의 문화를 세우는 사람들입니다. 그 한 사람이, 그 한 공동체가 이기심을 멈추고, 서로를 높이면 우리는 이 세상 한복판에서 하늘나라의 아름다움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사람아 주께서 선한 것이 무엇임을 네게 보이셨나니 오직 정의를 행하며 인애를 사랑하며 겸손하게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 (미가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