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의 법칙4

돈의 제목을 붙이는 삶 우리는 살아가며 돈과 떼려야 뗄 수 없습니다. 누군가는 돈을 두려워하고, 누군가는 욕망하며, 누군가는 사랑하면서도 미워합니다. 흥미롭게도 심리학에서는 돈을 ‘불안을 일으키는 불안화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돈은 그 자체로 불안을 일으키지만, 동시에 우리를 살아가게 하고 기회를 열어주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반드시 이 모순적인 존재와 균형 잡힌 관계를 맺어야 합니다.김경일 교수는 “돈에 제목이 붙는 순간 돈은 행복을 주는 도구가 된다”고 말합니다. ‘집세’, ‘부모님 치료비’, ‘여행’, ‘아이 교육’처럼 돈에 이름이 붙는 순간, 돈은 단순한 욕망이나 부담이 아니라 기쁨을 만들어주는 연료가 됩니다.행복도 마찬가지입니다. 행복은 우리가 도달해야 하는 종착지가 아니라, 길 위에서 시련을 견디도록 우리를 붙.. 2025. 11. 14.
풍족함을 얻으면 반드시 내놓으라 물은 흐를 때 살아 있습니다. 고요히 멈춰 있는 물은 썩고, 결국 사라지고 맙니다. 돈도, 풍족함도, 사랑도 마찬가지입니다. 풍족함을 얻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은 그것을 붙잡으려 합니다. “이 돈이 없어지면 어떡하지?” “다시는 들어오지 않으면 어떡하지?”이 두려움이 마음속에서 자라날 때, 흐름은 멈추고 풍족함은 막히기 시작합니다. 돈이든 에너지든, 생명이든, 그 본질은 ‘흐름’입니다. 들어왔다면 나가야 하고, 나가야 다시 들어옵니다. 하나님께서 만드신 창조의 질서 또한 순환입니다. 바람이 불고, 물이 증발하고, 다시 비가 되어 내리는 것처럼 ‘주는 자’에게 다시 돌아오는 것이 자연의 법칙입니다.마음속에 불안이 자리하면, 사람은 ‘소유’를 선택합니다. “혹시 모를 미래에 대비해야지.” “지금 있는 것부터 .. 2025. 10. 23.
원하지 않는 것까지 받아들이는 마음 사람들은 누구나 풍족한 삶을 꿈꿉니다. 돈이 충분하고, 사랑이 넘치며, 일이 잘 풀리는 인생을 바라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정작 풍족함이 들어오지 않는 이유는, 그것을 “선택적으로” 받으려 하기 때문입니다. “좋은 것만 받고, 나쁜 것은 피하고 싶다." 이 단순한 욕망이야말로 풍족함을 막는 가장 큰 장애물입니다.돈도, 사랑도, 인생도 하나로 엮인 통합체입니다. 원하는 것만 취하고, 불편한 것은 밀어내면 그 전체가 무너집니다. 예를 들어, 지갑을 활짝 열면 돈뿐 아니라 먼지나 티끌도 함께 들어옵니다. 하지만 먼지가 싫다고 지갑을 닫아버리면, 돈조차 들어오지 않습니다. 풍족함이 들어오는 문은 하나뿐인데, 그 문은 ‘좋은 것’과 ‘좋지 않은 것’을 함께 받아들이는 문이기 때문입니다.인생을 트럼프 카드.. 2025. 10. 23.
돈과 죄책감, 그리고 풍족함의 회복 “나는 받아도 되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종종 ‘돈’을 단순한 교환 수단이나 생계의 도구로만 생각합니다. 그러나 돈은 단지 ‘지폐’나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돈은 우리가 자신을 어떻게 대하는지, 자신을 얼마나 ‘가치 있는 존재’로 보는지를 드러내는 거울이기도 합니다.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합니다. “돈은 있는데 이상하게 마음이 늘 불안해요. 써야 할 때도 죄책감이 들어요.” 또 어떤 이는 “남편이 벌어온 돈을 쓰는 게 미안해요. 내 돈이 아닌데요…”라며 움츠러듭니다. 이런 마음속에는 공통된 감정이 숨어 있습니다. 바로 ‘죄책감’입니다. ‘나는 쓸모없다.’ ‘나는 돈을 쓸 자격이 없다.’ ‘나는 누군가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나는 폐를 끼치는 존재다.’이런 생각들은 마치 오래된 그림자처럼 .. 2025.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