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적인 삶4

영에 속한 사람 - 영을 돕는 마음의 원칙 성경은 우리를 영·혼(마음)·몸으로 말합니다(살전 5:23). 말씀은 또 “혼과 영을 찔러 쪼개기까지” 분별된다고 합니다(히 4:12). 문제는 일상에서 영과 마음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도하려 하면 멍하고, 분별하려 하면 과하게 생각만 많아지거나 감정에 휩쓸립니다. 영이 미약하거나 조용할 때, 마음(지·정·의)이 영을 ‘보조’해 다시 영의 리듬으로 들어가도록 돕는 법입니다. “마음으로 시작해 영으로 깊어진다.” 영이 즉각 반응하지 않을 때, 마음이 먼저 믿음·기억·의지로 기도의 마중물을 붓습니다. 그러면 때가 되어 성령이 영을 일으키고, 우리는 영을 따라 계속 나아갑니다(고전 14:15, 롬 8:26).영과 마음이 어떻게 서로 돕고 받는가를 보면, 영은 하나님의 감동을 “감지”합니.. 2025. 8. 24.
영에 속한 사람 - 영에 속한 사람으로 산다는 것 우리는 모두 몸과 혼, 그리고 영을 가진 존재입니다. 몸은 이 땅의 세계와 접촉하고, 혼은 우리의 생각과 감정, 의지를 통해 자아를 형성하며, 영은 하나님과 교제하는 가장 깊은 내면의 자리입니다. 그러나 많은 신자들이 육체의 욕망이나 감정에 이끌려 살면서도 자신이 영적인 사람이라고 착각합니다. 이는 마치 자동차가 있다고 해서 모두가 운전을 잘하는 것은 아닌 것처럼, 우리 안에 성령이 거하신다고 해서 자동으로 영에 속한 삶을 사는 것은 아님을 말해줍니다.성경은 "육신을 따르는 자는 육신의 일을, 영을 따르는 자는 영의 일을 생각하느니라"(롬 8:5)고 말합니다. 다시 말해, 어떤 생각을 품고 살아가는지가 그 사람의 정체성을 드러냅니다. 겉으로 보기엔 신실하고 바른 신자처럼 보여도, 마음과 뜻이 하나님보다는.. 2025. 8. 5.
영적인 삶을 위하여 – 역경의 유익함 인간은 평탄한 길 위에서는 자신의 본모습을 보기 어렵습니다. 성공과 평안이 주는 만족은 우리로 하여금 세상의 달콤함에 안주하게 하고, 자기도 모르게 하나님을 멀리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를 참된 생명으로 이끄시기 위해, 때로는 고통과 시련이라는 어두운 골짜기로 우리를 인도하십니다. 그분은 사랑의 채찍으로 우리를 낮추시고, 자기를 의지하던 교만한 심령을 꺾으시며, 영혼 깊은 곳에서 하나님만을 붙들게 하십니다.시련은 하나님이 사랑하는 자에게 주시는 가장 깊고도 정결한 훈련입니다. 역경은 인간의 눈에는 꺼림칙하고 피하고 싶은 것이지만, 영혼의 깊은 곳을 들여다보게 하는 하나님의 자비로운 수단이기도 합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평안과 안정, 인간의 인정과 지지를 갈망하지만, 하나님은 때로 그것을 거두심.. 2025. 7. 1.
영적인 삶을 위하여 - 사귐의 조심성 우리는 공동체 안에서 살아갑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는 우리의 삶을 풍성하게도 하고, 때로는 지치게도 합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이웃을 사랑하라고 명하지만, 동시에 모든 이와 깊은 사귐을 맺으라고 명한 적은 없습니다. 사랑과 사귐은 동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랑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야 할 그리스도의 명령이지만, 사귐은 신중히 선택해야 할 우리의 책임입니다.오늘날 우리는 ‘소통’이라는 미명 아래 너무 쉽게 마음을 내어주고, 너무 자주 우리의 속을 보이며, 너무 성급히 친밀함을 추구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지혜는, 우리의 내면을 아무에게나 쉽게 드러내지 않는 절제와 분별에서 시작됩니다.“모든 사람에게 그대의 마음을 송두리째 드러내지 말라.”는 말은 결코 사람을 경계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의 마.. 2025.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