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원10

영에 속한 사람 - 육신에 대한 신자의 궁극적 태도 육신의 본질은 선한 것이 거하지 않는 존재입니다. 사도 바울은 로마서 8장에서 육신에 대해 단호한 선언을 합니다. “육신의 생각은 사망이요... 하나님과 원수가 되나니... 육신에 있는 자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느니라”(롬 8:6~8).이 말씀은 인간 존재의 가장 깊은 비극을 드러냅니다. 하나님 없는 육신은 그 자체로 불순종이며, 하나님과의 불화이며, 죽음의 냄새를 품고 있는 존재입니다. 우리가 아무리 그 육신을 아름답게 치장하고, 훈련하고, 겸손하게 보이려 해도, 본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육신은 하나님의 법에 굴복하지 않을 뿐 아니라, 굴복할 수도 없는 존재입니다(롬 8:7).우리가 스스로를 신뢰하고 의지할 때, 그 믿음의 중심에는 바로 이 육신의 자아가 있습니다. 겉으로는 겸손을 입었을지라도.. 2025. 7. 26.
영에 속한 사람 - 육신과 구원 “육으로 난 것은 육이니” (요 3:6)예수님의 이 한 마디는,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하신 선언이었습니다.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육으로 난 자'입니다. 어떤 이가 세상에서 훌륭하고, 지혜롭고, 도덕적인 삶을 산다고 하여도, 그가 거듭나지 않았다면 그는 여전히 '육신'에 속한 사람입니다. 이 육신이란 단순히 살과 피로 된 인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님과 분리된 채 자기 중심성에 따라 사는 존재, 곧 타락한 인격 전체를 뜻합니다.성경은 이 육신의 상태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는' 상태라고 단언합니다(롬 8:8). 여기에는 여지도 없습니다. “할 수 없다”는 이 문장은 단순한 설명이 아니라, 하나님의 법정에서 선포된 판결입니다. 즉, 육신에 속한 인간은 하나님.. 2025. 7. 19.
혼과 영, 그리고 진정한 구원-성경이 말하는 ‘영혼’의 진실 우리는 흔히 ‘영혼’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사람을 칭할 때도 “그는 참 고귀한 영혼이다”라고 말하고, 죽은 이를 애도할 때도 “그의 영혼이 평안하길”이라고 기도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에게 이 익숙한 표현 뒤에 숨겨진 깊은 진리를 이야기합니다. 오히려, 이 익숙함이 때로는 오해의 뿌리가 되기도 합니다. 성경 원문에는 ‘영혼’이라는 단어가 없습니다. ‘영(spirit)’과 ‘혼(soul)’은 철저히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 둘을 혼동할 때, 우리는 복음의 핵심과 하나님의 구원의 본질을 흐릴 수 있습니다.우리말 성경은 ‘영혼’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합니다. 그러나 히브리어와 헬라어 성경 원문을 살펴보면, ‘영’은 히브리어로 루아흐, 헬라어로는 프뉴마이고, ‘혼’은 히브리어로 네페쉬, 헬라어로는 푸시케입니.. 2025. 7. 13.
하나님이 보시기에 참 좋았더라 창세기 1장을 읽을 때, 우리는 이 세계가 하나님에 의해 아름답고 정결하게 지어진 질서의 공간임을 깨닫게 됩니다. 모든 생물은 "그 종류대로" 창조되었고, 모든 생물에게는 "하나님으로부터 부어진 복"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이 보시기에 참 좋았던 그 창조의 세계는 단지 물리적인 자연의 창조를 넘어서, 하나님의 뜻과 복이 생명에 어떻게 스며들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구속사의 거울입니다.하나님께서 물고기와 새에게 하신 축복은 단순히 번영과 성공이 아니라, 생육하고 번성하여 충만하라는 존재 목적에 대한 복입니다. 이는 그저 수적 증가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부여하신 삶의 자리를 충실히 살아내는 복입니다.우리는 흔히 ‘복’을 물질의 풍요나 인간적인 성공으로 오해합니다. 하지만 물고기나 새들이 받은 복은 그들.. 2025.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