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앙간증4

종의 형체를 입으신 주님처럼 “오직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빌립보서 2:7)머슴 목회자 이자익(1879∼1959) 총회장은 후배 목회자들에게 ‘큰 바위 얼굴’로 통합니다. 20여개 교회를 설립하고 세 차례나 장로교단 총회장을 지냈으면서도 명예나 권력, 재물에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큰 교회의 청빙을 거절하고 작은 농촌교회를 끝까지 지켰습니다. 일제강점기엔 신사참배와 창씨개명을 끝내 거부했습니다.1942년 장로교 총회를 재건한 그의 행정능력에 깊은 감명을 받은 함태영 부통령이 장관 입각을 제안했지만 역시 거절했습니다. “지금까지 목회자로 살았으니 앞으로도 목사로 종신하겠다”는 게 대답이었다고 합니다. 70세 고령에도 장로회 대전신학교를 설립한 열정의 목회자였습니다. 교계 ‘법통’으로도 불렸습니다.. 2025. 6. 28.
한 여인의 순교와 복음의 불씨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누가복음 9:23)성결교단의 문준경(1891∼1950) 전도사는 여성사역자로서 성결교를 대표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녀의 헌신적인 사역과 활동이 지금까지 많은 교회와 성도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문전도사가 고향인 전남 신안군의 섬들에 설립한 증동리교회, 진리교회, 대초리교회 등 10여 교회는 오늘날 기독교를 대표하는 수많은 목회자들(김준곤 이만신 정태기 이만성 이봉성목사 등 30여명)을 배출하는 믿음의 산실이 되었습니다. 그녀의 복음전파에 대한 열정과 헌신, 사역은 섬을 중심으로 한 호남선교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전남 신안군 암태면 수곡리의 작은 섬에서 출생한 문준경은 어려서부터 총명하.. 2025. 6. 28.
나는 마음에 생의 걸음마를 배웠다 “우리는 사방으로 죄어들어도 움츠러들지 않으며, 답답한 일을 당해도 낙심하지 않으며, 박해를 당해도 버림받지 않으며, 거꾸러뜨림을 당해도 망하지 않습니다.” (고후4:8~9) “그뿐만 아니라, 우리는 환난을 자랑합니다. 우리가 알기로, 환난은 인내력을 낳고, 인내력은 단련된 인격을 낳고, 단련된 인격은 희망을 낳는 줄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희망은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성령을 통하여 그의 사랑을 우리 마음 속에 부어 주셨기 때문입니다.”(롬5:3~5) 경제학 교수였던 남편 (고 심현성 마르티노, 전 숙명여대 교수)은 1977년 뇌졸중으로 쓰러졌다. 그녀 나이 35세 때 일이다. 한 달 만에 혼수상태에서 깨어난 남편은 반신불수가 됐고 수발은 24년 동안이나 이어졌다. .. 2024. 6. 13.
350명의 마지막 순간을 지킨 속 빈 여자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라 하나님을 믿으니 또 나를 믿으라. 내 아버지 집에 거할 곳이 많도다 그렇지 않으면 너희에게 일렀으리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거처를 예비하러 가노니, 가서 너희를 위하여 거처를 예비하면 내가 다시 와서 너희를 내게로 영접하여 나 있는 곳에 너희도 있게 하리라” (요한복음 14:1~3) 사람들은 죽음 앞에 서면 심리적으로 두렵고 심한 상실감과 고통을 겪게 됩니다. 그러한 고통을 덜어주는 프로그램으로 호스피스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죽음에 직면한 사람에게 절망이 아닌 희망을 가지도록 하며 죽음을 부정적으로 맞지 아니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며 희망의 새로운 시작점이 될 수 있게 해주는 일을 합니다. 지난 10월 말 부산시 서구 아미동 부산대병원 호스피스 병동. 연분홍 자원봉사자 조끼.. 202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