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적전쟁11

은혜의 문턱에 선 자들 요단 강 건너편에서 예수님을 찾은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달려와 예수 앞에 무릎을 꿇고 말했습니다. “선한 선생님이여,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눅 18:18)이 장면은 단순한 궁금증 이상의 진지함을 보여줍니다. 그는 정중했고, 열망했고, 겸손해 보였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계명의 목록 앞에서, 그는 자신있게 대답합니다. “이 모든 것을 어려서부터 지켰나이다.” (막 10:20) 그러나 주님은 그 사람의 마음 깊은 곳을 꿰뚫어보셨고, 그가 여전히 한 가지를 놓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십니다.“네게 아직도 한 가지 부족한 것이 있으니, 네게 있는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 그리하면 하늘에서 보화가 네게 있으리라. 그리고 와서 나를 따르라.”(막 10:21)그 말.. 2025. 6. 17.
싸우지 않는 군사, 빼앗긴 신앙 우리는 지금 전쟁 중에 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이 너무도 많습니다. 마치 평화의 시대를 살고 있는 것처럼, 혹은 신앙을 단순한 종교적 위안이나 문화적 습관쯤으로 여기며 살아가는 이들이 교회 안에 가득합니다. 영적 전쟁이라는 말이 낯설게 들리는 세대, “전투기도”라는 말조차 생경하게 여기는 신앙의 현실이 우리 앞에 있습니다.하지만 성경은 말합니다.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요, 정사와 권세와 이 어두움의 세상 주관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을 상대함이라.” (엡 6:12) 이 전쟁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더 치명적입니다.세상의 다른 종교들은 수련과 고행, 절제와 명상을 강조하지만, ‘싸움’은 그 핵심 가치가 아닙니다. 그러나 기.. 2025. 6. 17.
베노니와 베냐민, 그리고 '예수지옥 김밥천국'의 신앙 "그들이 베델을 떠나 에브랏에 아직 채 이르기 전에, 라헬이 몸을 풀게 되었는데, 고통이 너무 심하였다. 아이를 낳느라고 산고에 시달리는데, 산파가 라헬에게 말하였다. "두려워하지 마셔요. 또 아들을 낳으셨어요." 그러나 산모는 숨을 거두고 있었다. 산모는 마지막 숨을 거두면서, 자기가 낳은 아들의 이름을 베노니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아이의 아버지는 아들의 이름을 베냐민이라고 하였다. '내 슬픔의 아들' '오른손의 아들' 또는 '남쪽의 아들'. 라헬이 죽으니, 사람들은 그를 에브랏 곧 베들레헴으로 가는 길 가에다가 묻었다. 야곱이 라헬의 무덤 앞에 비석을 세웠는데, 오늘날까지도 이 묘비가 라헬의 무덤을 가리키고 있다." (창세기 35:16~20)라헬은 눈부시게 사랑받던 여인이었습니다. 야곱은 라헬을 얻.. 2025. 6. 14.
부득불, 그리스도를 전하는 자 어떤 이들은 말합니다. "왜 그렇게까지 예수를 전해야 하나요?" "왜 그렇게 눈물로 외쳐야 하나요?" 그러나 성경을 들여다보면, 결코 자발적인 열심이나 인간적인 열정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오직 '부득불'이라는 단어로만 표현될 수 있는 사명자들의 이야기를 만나게 됩니다.예레미야가 그렇습니다. 그는 고백합니다. "다시는 여호와를 선포하지 않겠다!" 자신은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전했을 뿐인데, 돌아오는 것은 사람들의 조롱과 멸시였습니다. 수염을 뽑히고, 뺨을 맞고, 조롱받고, 외면당했습니다. 그리하여 차라리 입을 다물고 살고 싶다고 결심했지만, 하나님의 말씀이 그의 뼛속에서 타오르는 불이 되어 도무지 참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예레미야는 또다시, 찢기면서도, 울면서도, “도대체 왜 나만 갖고 그러십니.. 2025.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