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5 두려움을 넘어서는 믿음의 삶 “내가 두려워하는 날에는 내가 주를 의지하리이다.” (시편 56:3)우리가 살아가며 느끼는 대부분의 부정적 감정인 짜증, 분노, 걱정, 불안, 심지어 우울함까지, 그 뿌리를 더듬어 올라가 보면 결국 ‘두려움’이라는 한 가지 뿌리에서 비롯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두려움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우리 뇌의 편도체에서 비롯되는 생존 반응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이 두려움을 영적인 차원에서 다르게 해석합니다. 하나님을 떠난 인간의 마음, 즉 죄로 인해 분리된 인간의 내면은 근본적으로 불안하고, 그 불안은 하나님을 잃어버린 두려움으로 나타납니다.아담이 타락 후 가장 먼저 보인 반응을 기억합니까? “내가 벗었으므로 두려워하여 숨었나이다”(창 3:10). 두려움은 죄 이후 인간의 본성 깊은 곳에 새겨진 상처입니다.. 2025. 11. 2. 오래 참으시는 하나님, 서두르는 인간 "사무엘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번제와 다른 제사를 그의 목소리를 청종하는 것을 좋아하심 같이 좋아하시겠나이까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숫양의 기름보다 나으니. 이는 거역하는 것은 점치는 죄와 같고 완고한 것은 사신 우상에게 절하는 죄와 같음이라 왕이 여호와의 말씀을 버렸으므로 여호와께서도 왕을 버려 왕이 되지 못하게 하셨나이다 하니. 사울이 사무엘에게 이르되 내가 범죄하였나이다 내가 여호와의 명령과 당신의 말씀을 어긴 것은 내가 백성을 두려워하여 그들의 말을 청종하였음이니이다."(사무엘상 15:22~24)하나님의 인격적 특성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것은 바로 ‘오래 참으심’입니다. 하나님은 서두르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의 시간은 언제나 완전하며, 그분의 인내는 우리의 이해를 넘어섭니다. 반면, 마귀의 .. 2025. 11. 2. 하나님께서 임하시는 예배 - 레위의 세 아들에게서 배우는 영성 “레위의 아들은 이러하니, 곧 게르손과 고핫과 므라리이니라.”(민수기 3:17)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특별히 레위 지파를 택하셔서 자신을 섬기게 하셨습니다. 그들은 전쟁을 위해 무기를 들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들의 손은 성막을 붙들고 하나님을 모시는 일에 헌신되었습니다. 그들의 삶의 중심에는 한 가지 사명이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거하실 처소를 지키라.” 그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 레위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습니다. 게르손, 고핫, 므라리, 그들의 이름과 맡은 일에는 단순한 역할 이상의 깊은 영적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게르손 이라는 이름의 뜻은 “나그네”입니다. 게르손 자손의 임무는 성막의 휘장과 덮개를 관리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들이 다루는 것은 하나님 임재의 공간을 감싸는 천, 즉 구별의 경.. 2025. 11. 1. 기도 중 찾아오는 졸음 기도의 자리에서 졸음에 무너졌던 경험, 이는 대부분의 신자들이 한 번쯤은 겪어본 기억일 것입니다. 분명 기도하겠다는 결심으로 무릎을 꿇었건만, 어느새 머리는 무겁고 눈꺼풀은 내려앉아,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시간을 허비한 것 같은 허탈감만 남기는 밤을 경험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날 밤, 주님 앞에 도무지 면목이 없어 고개를 들지 못한 채 잠든 자신을 자책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흔한 경험 속에 감추어진 더 깊은 영적 의미를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예수님이 감람산에서 마지막 밤을 보내며 기도하시던 장면을 떠올려 봅니다. 십자가를 앞둔 그 밤, 주님은 제자들에게 "너희는 나와 함께 깨어 있을 수 없더냐?"고 물으셨습니다(막 14:37). 그 물음은 단순한 책망이라기보다는,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의 자리에서 .. 2025. 7.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