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30 유리하는 문명과 예배하는 백성 “그 때에 사람들이 비로소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더라.”(창세기 4:26)우리는 누구나 ‘어디에서 왔는가’,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가슴에 안고 살아갑니다. 이 질문은 단순히 철학적인 물음이 아니라, 내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뿌리와 같습니다. 성경은 그 물음에 대해 단순하고도 분명하게 답합니다. 인류는 두 갈래의 계보 속에 살아가고 있으며, 각 사람은 반드시 그 둘 중 하나에 속해 있다는 것입니다. 창세기 4장의 가인과 5장의 셋, 이 두 인물의 후손 이야기는, 단순한 족보가 아니라 삶의 방식에 대한 거대한 선언입니다.가인의 이름은 우리에게 익숙합니다. 그는 최초의 살인자였습니다. 아벨을 죽인 후 그는 하나님으로부터 징벌을 받고 땅 위에서 유리하게 됩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 2025. 8. 3. 맞아 죽는 삶, 도피성의 은혜 “이르시되 네가 무엇을 하였느냐? 네 아우의 피 소리가 땅에서부터 내게 호소하느니라.”(창세기 4:10)우리는 모두 가인입니다. 성경은 살인을 단지 흉기나 주먹을 들어 남의 생명을 끊는 물리적 행위로만 정의하지 않습니다.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곧 살인자요, 형제를 시기하고 질투하는 마음은 곧 가인의 길을 따르는 것입니다. 이 기준 앞에, 그 누구도 죄 없는 자라 말할 수 없습니다. 나는 오늘도 누군가를 속으로 저울질하고, 비교하고, 나보다 낮게 여기며 조용히 죽입니다.그러나 하나님은 이런 나에게 놀라운 은혜를 베푸십니다. 원래 나는 고의적 살인자입니다. 의도적으로, 반복적으로, 내 안의 죄된 본성과 결탁하여 타인을 죽이고 공동체를 해치고 하나님의 형상을 모독하는 자입니다. 그런 내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 2025. 7. 31. 구원받은 살인자들 - 가인과 아벨 사이에서 나를 만나다 “여호와께서 가인에게 이르시되 네가 분하여 함은 어찌 됨이며 안색이 변함은 어찌 됨이냐? 네가 선을 행하면 어찌 낯을 들지 못하겠느냐? 선을 행하지 아니하면 죄가 문에 엎드려 있느니라. 죄가 너를 원하나 너는 죄를 다스릴지니라.”(창세기 4:6~7)우리는 누구나 성경을 읽다가 자기도 모르게 자신을 아벨의 편에 두곤 합니다. 착하고 정직하며 하나님께 인정받는 자의 자리입니다. 하지만 정직하게 돌아보십시오. 우리가 더 많이 닮은 이는 아벨이 아니라 가인입니다. 가인은 제사를 드렸습니다. 형식적으로 보면 신실했습니다. 하나님께 드리는 행위는 동일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의 제사는 받지 않으셨습니다. 왜일까요? 성경은 “가인과 그의 제물은 받지 않으셨다”고 말합니다. 하나님은 단지 제물의 내용물이 아닌, 제.. 2025. 7. 28. 아무것도 아닌 자들을 택하시는 하나님 - 아벨과 셋, 그리고 은혜의 계보 “하나님이 아벨 대신에 다른 씨를 주셨으니 곧 셋이라.”(창세기 4:25)성경은 처음부터 끝까지 ‘누가 택함을 받았는가’, 그리고 ‘그 택함은 어떤 기준으로 주어졌는가’를 보여주는 책입니다. 에덴동산에서 범죄 이후, 인류의 역사는 두 계열로 나뉩니다. 하나는 하나님의 은혜 아래 사는 자들, 다른 하나는 하나님의 방식 대신 자신의 길을 택한 자들입니다.아담과 하와의 두 아들, 가인과 아벨은 이 대조의 첫 출발점입니다. 장자인 가인은 농부였고, 동생 아벨은 양치는 자였습니다. 그들은 제사를 드렸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아벨의 제사는 받으시고, 가인의 제사는 외면하셨습니다. 이로 인해 가인은 분노했고, 결국 아벨을 들에서 쳐 죽였습니다. 땅은 아벨의 피를 머금었고, 하나님은 그 피를 들으셨습니다.하지만 아벨은.. 2025. 7. 26.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