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세기30

심판 속에 꽃피는 구원 - 생명의 씨를 위한 고통의 여정 "또 여자에게 이르시되 내가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더하리니 네가 수고하고 자식을 낳을 것이며 너는 남편을 원하고 남편은 너를 다스릴 것이니라 하시고"(창세기 3:16)구속의 강물은 파탄과 절망의 현장 속에서도 흐릅니다. 창세기 3장의 이야기는 타락의 현장입니다. 인간의 불순종, 죄의 결과, 하나님의 심판이 드러나는 장면이지만, 창세기 3장에는 놀랍게도 회복의 메시지와 구속사의 씨앗이 심겨 있습니다. 하나님은 인간을 에덴에서 내어 쫓으시지만, 그 내쫓음은 파괴가 아닌 보호였습니다. 죄 가운데 영원히 머물지 않게 하시려는 자비였고, 장차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회복의 길을 예비하신 은혜였습니다.여자의 저주 속에 복음의 그림자가 담겨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여자에게 임신과 해산의 고통을 더하시겠다고 하.. 2025. 7. 24.
네가 어디 있느냐 - 타락 이후의 인간과 하나님의 회복 “그들이 그 날 바람이 불 때에 동산에 거니시는 여호와 하나님의 소리를 듣고, 아담과 그의 아내가 여호와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동산 나무 사이에 숨은지라.”(창세기 3:8)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숨기 시작했습니다. 에덴동산의 고요한 아침, 선악과를 먹은 후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나무 사이에 숨었습니다. “네가 어디 있느냐?” 이 물음은 전능하신 하나님의 무지가 아니라, 관계를 회복하시려는 하나님의 절절한 부르심이었습니다. 우리는 그 물음 앞에서 오늘도 자신을 돌아보게 됩니다. 나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나는 하나님 앞에 서 있는가, 숨고 있는가?인간의 영적인 파탄은 하나님을 기쁨 아닌 공포로 인식하게 된 존재가 되었습니다. 죄의 첫 결과는 영적인 죽음이었습니다. 아담은 더 이상 하나님 앞에서.. 2025. 7. 22.
말씀을 흐릴 때 오는 저주 - 하와의 실수 "여자가 그 나무를 본즉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인지라 여자가 그 실과를 따먹고 자기와 함께 한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창 3:6) 하나님의 말씀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완전합니다. 창세기 3장은 단순히 인류 최초의 타락 사건을 기록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모든 죄의 본질이 어디서 시작되고, 어떻게 발전하며, 어떤 열매를 맺는지를 정밀하게 보여주는 ‘영적 경고문’입니다. 그 핵심에는 바로 하나님의 말씀에 ‘더하고’, ‘제하는’ 행위가 있습니다.하와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고 말했습니다. 하나님은 만지지 말라는 말씀을 하신 적이 없는데도, 그녀는 ‘섭섭함’과 ‘의심’이라는 감정을 토대로 하나님의 말씀에 첨가했습니다. 이것이 첫 ‘더함’입니다. 그리고.. 2025. 7. 21.
하나님의 언약 안에서의 타락 - 선을 위한 어둠의 서막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 하시고”(창세기 3:15)세상을 살다 보면 우리는 종종 “왜 이런 일이 나에게, 우리에게 일어나는가?”라는 물음을 던집니다. 전쟁, 질병, 배신, 고난, 죄악 등. 이 세상을 살아가는 누구든 이러한 현실 앞에서 신음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창세기 3장은 이 모든 문제의 기원을 설명하는, 인류 역사상 가장 비극적이면서도 동시에 소망의 문이 열린 장입니다. 아담과 하와의 타락. 그러나 이 타락의 장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단순한 실패나 돌발 변수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태초부터 품으셨던 언약의 드라마 안에 놓인 장면이라는 사실을 보게 됩니다.타락은.. 2025.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