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수께서 거기서 나가사 두로와 시돈 지방으로 들어가시니 가나안 여자 하나가 그 지경에서 나와서 소리 질러 이르되 주 다윗의 자손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내 딸이 흉악하게 귀신 들 렸나이다 하되 예수는 한 말씀도 대답하지 아니하시니 제자들이 와서 청하여 말하되 그 여자가 우리 뒤에서 소리를 지르오니 그를 보내소서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 외에는 다른 데로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노라 하시니 여자가 와서 예수께 절하며 이르되 주여 저를 도우소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하지 아니하니라 여자가 이르되 주여 옳소이다마는 개들도 제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를 먹나이다 하니 이에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여자여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하시니 그 때로부터 그의 딸이 나으니라."(마태 15:21~28)
마태복음 15장 21절에서 28절은 짧지만 매우 인상적인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갈릴리 지역을 떠나 두로와 시돈, 즉 이방 땅으로 들어가셨습니다. 그곳에서 한 여인이 등장합니다. 유대인이 아닌 가나안 여인, 성경은 그 이름조차 밝히지 않은 이 여인이 간절한 외침으로 예수님 앞에 나옵니다.
“주 다윗의 자손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내 딸이 흉악한 귀신에 들렸나이다.”
얼마나 절박했으면 큰 소리로 외쳤을까요? 딸의 고통은 곧 어머니의 고통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단 한 마디도 대답하지 않으셨습니다. 제자들마저 성가시다며 여인을 내보내 달라고 청했습니다. 냉담과 무시는 여인의 마음을 꺾을 법도 했습니다. 하지만 여인은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마침내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 외에는 다른 데로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다.”(24절) 다시 말해, 아직은 이방인의 차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게다가 예수님은 이렇게까지 말씀하십니다.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하지 아니하다.”(26절)
자존심이 상할 만한 표현이었습니다. 자녀는 이스라엘을, 개는 이방인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여인은 기죽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놀라운 대답을 내놓습니다.
“주여, 옳습니다. 그러나 개들도 제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는 먹습니다.” 그 순간, 예수님의 마음이 움직이셨습니다. “여자여,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그리고 그 자리에서 딸의 병이 나았습니다.
이 장면을 깊이 묵상하면, 여인의 믿음이 무엇보다도 “겸손” 위에 세워져 있음을 보게 됩니다. 그녀는 예수님께서 유대인의 구세주로 오셨음을 인정했습니다. 자신이 자녀의 자리에 있지 않음을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개라 불리는 자리에 자신을 두고, 그 자리에서 은혜를 구했습니다. 하지만 그 은혜는 여전히 주인의 손에서 흘러나오는 은혜였습니다.
그녀의 간청은 집요했지만, 뻔뻔한 요구가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부스러기 은총’으로도 충분하다는 믿음이었습니다. 그 작은 은혜라도 예수님의 손에서 흘러나온다면, 자신의 딸을 살리고도 남는다는 확신이었습니다.
이 이야기를 들을 때, 자꾸 시선이 개에게 머뭅니다. 우리도 사실은 하나님 앞에서 개와 같은 존재입니다. 우리 본성과 행실로는 구원은커녕 감히 기도를 드릴 자격조차 없습니다. 우리는 더럽고 추한 욕망으로 살아가며,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는 데 익숙합니다. 스스로 의롭다 할 수 없는 존재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주님은 그 부스러기 은총조차도 아끼지 않으십니다. 우리가 겸손히 구하면, 자녀에게 주시는 풍성한 떡만이 아니라 부스러기까지도 생명을 살리는 은혜가 됩니다. 주님은 이방 여인의 간절한 믿음을 보시고, 부스러기를 은혜로 바꾸어 주셨습니다.
이 말씀은 우리에게 신앙의 자리와 태도를 돌아보게 합니다. 우리는 자주 하나님께 큰 것, 풍성한 것, 눈에 띄는 은혜를 구합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작은 부스러기라도 하나님의 은혜라면 그것이 우리를 살리고 변화시킨다는 사실입니다. 믿음은 은혜의 크기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은혜의 근원이신 주님께 매달리는 것입니다.
수로보니게 여인은 주님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거절당해도, 모욕을 받아도, 침묵 속에서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오직 주님만이 소망이었기 때문입니다. 그 믿음을 주님은 “크도다”라고 칭찬하셨습니다.
우리도 그 믿음을 배워야 합니다. 당당한 자격으로 주님께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개처럼 엎드려 부스러기 은총을 구하는 겸손한 믿음 말입니다. 그때 주님은 말씀하실 것입니다.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
겸손히 주님께 매달리는 믿음이야말로 크신 은혜를 끌어온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은혜 앞에서 우리의 자리는 개와 같지만, 그 자리를 기꺼이 인정할 때 우리는 오히려 더 풍성한 주님의 은혜를 누리게 됩니다.
'성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한 목자 - 절대 선이신 하나님 (0) | 2025.08.23 |
---|---|
마르다와 마리아 - 분주한 손과 고요한 귀 (0) | 2025.08.23 |
백부장의 믿음 - 말씀만 하옵소서 (0) | 2025.08.19 |
산상수훈 - 팔복의 첫걸음은 가난한 마음 (0) | 2025.08.19 |
사마리아 여인 - 영원히 목마르지 않는 샘물 (3) | 202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