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도소에서 복역 중인 죄수들에게 물었다고 합니다. “세상에서 누가 가장 보고 싶습니까?” 대답은 놀랍게도 두 가지로 모아졌습니다. “엄마.” 그리고 또 다른 이들은 “어머니.”
같은 대상인데 왜 어떤 이들은 ‘엄마’라 했고, 또 어떤 이들은 ‘어머니’라 했을까요? 그 차이를 묻자, 한 죄수가 나중에 이렇게 답을 보내왔다고 합니다. “엄마는 내가 엄마보다 작았을 때 부르던 이름이고, 어머니는 내가 어머니보다 커졌을 때 부르는 이름입니다.”
즉, ‘엄마’라고 부르던 시절은 아직 철이 덜 든 때였고, 철이 들어서는 ‘어머니’라 부른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첫 면회에서 어머니가 눈앞에 서 계시자, 그 죄수는 자신도 모르게 눈물을 터뜨리며 달려들어 “엄마~!” 하고 불렀다고 합니다.
그렇습니다. 세상 어디에도 ‘엄마’와 ‘어머니’를 명확하게 구분해 설명하는 사전은 없지만, 우리 가슴 속에서는 분명히 다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엄마’는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이름입니다.
불가의 《부모은중경》에서는 어머니가 자식을 낳을 때 “세 말 여덟 되의 응혈(凝血)을 흘리고, 자식을 키우면서는 여덟 섬 네 말의 혈유(血乳)를 주었다”고 기록합니다. 그래서 어떤 이는 농담처럼 말하기도 합니다. 엄마는 주민등록증 외에 또 하나의 증을 가지고 계시다고. 바로 ‘골다공증’이라는 증명서입니다. 그만큼 몸과 마음을 다해 자녀를 위해 희생했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아버지는 어떨까요? 우리는 때로 아버지를 손님처럼 대합니다. 늘 묵묵히 일하시고, 희생하시지만 그 존재의 무게를 잊고 삽니다.
어느 유학생 아들의 이야기입니다. 아들은 매일같이 어머니와는 전화로 소식을 주고받았습니다. 그러나 아버지와는 대화를 거의 나누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는 아버지가 열심히 일해주신 덕분에 이렇게 유학까지 왔는데, 정작 아버지께 감사 인사 한 번 제대로 드린 적이 없구나. 어머니만 부모처럼 여기고, 아버지는 늘 손님처럼 대했구나…”
큰 후회가 밀려왔습니다. 그래서 그는 마음을 다잡고 전화를 걸었습니다. 마침 아버지가 받으셨습니다. 그러자 아버지는 습관처럼 말씀하셨습니다. “엄마 바꿔줄까?” 평생 집안에서 교환수 노릇만 하셨으니, 그 말이 무심코 나온 것이었을 겁니다.
아들은 용기를 내어 말했습니다. “아니에요. 오늘은 아버지와 이야기하고 싶어요.” 그러자 돌아온 대답은 뜻밖에도 이랬습니다. “왜, 돈 떨어졌냐?” 아버지는 스스로를 ‘돈 주는 사람’쯤으로 여기셨던 겁니다. 그러자 아들은 뭉클한 마음을 참지 못하고 진심을 전했습니다. “아버지, 제가 아버지께 너무 큰 은혜를 받으면서도 그동안 너무 불효했습니다. 오늘은 아버지께 감사 인사 드리고 싶어요.”
그러자 아버지는 이렇게 되물으셨습니다. “…너, 술 마셨냐?" 겉으로는 서툴고 어색했지만, 그 속에는 깊은 사랑과 눈물이 숨어 있었습니다.
우리는 종종 ‘엄마’의 희생은 쉽게 떠올리지만, ‘아버지’의 사랑은 잊곤 합니다. 엄마의 사랑이 눈물이라면, 아버지의 사랑은 땀입니다. 엄마의 사랑이 품어 안는 품이라면, 아버지의 사랑은 묵묵히 떠받치는 기둥입니다.
철이 들면 비로소 깨닫습니다. 부모라는 이름 앞에서 ‘엄마’와 ‘아버지’ 모두가
우리 삶의 가장 큰 선물이자 은혜였음을 말입니다. 그리고 어느 날, 우리도 자연스레 이렇게 부르게 될지 모릅니다.
“엄마…”
“아버지…”
그 이름만으로도 눈시울이 뜨거워지는,
세상에서 가장 거룩한 두 글자입니다.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로 살기보다는 생각으로 살아라 (0) | 2025.10.01 |
---|---|
좋은 인연을 맺는 법 (0) | 2025.10.01 |
지금, 곁에 있는 사람과의 행복 (0) | 2025.09.30 |
오늘을 미루지 말라 (0) | 2025.09.30 |
비교하면 행복은 멀어집니다 (0)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