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과 관련된 것은 하나뿐입니다. 살인범치고는 아직 그렇게 망가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대장장이에게 쉽게 죄를 덮어씌울 수 있었지만, 당신은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그 아내에게도 그랬고요. 대신 지능 낮은 사람을 범인으로 몰려고 했습니다. 그는 벌 받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살인범에게서 한 줄기 빛을 찾아내는 것이 제 일이기도 하지요. 이제 마을로 내려가십시다. 그리고 바람처럼 자유롭게 원하는 길을 가십시오. 저는 할 말을 다 했습니다. 두 사람은 말없이 나선형 계단을 내려와 다시 햇살 가득한 바깥으로 나왔다. 월프레드 보언 목사는 대장간 마당으로 들어가는 나무문을 조심스럽게 열고 경찰관에게 다가갔다. 자백하겠습니다. 제가 형을 죽였습니다." - 체스터튼, 브라운 신부의 순진 -
체스터튼의 추리소설 브라운 신부의 순진에는 독특한 탐정이 등장합니다. 그는 날카로운 추리력이나 과학적 증거보다도 자신의 인간됨을 무기로 삼아 사건을 해결합니다. 범인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그 안에 있는 어둠을 비추어 내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브라운 신부는 단지 어둠을 폭로하는 것에서 멈추지 않습니다. 그는 어둠 속에서도 한 줄기 빛을 찾아내려 합니다. 범인 속에도 여전히 인간다움이 남아 있고, 아직 희망이 꺼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려는 것입니다.
브라운 신부가 이렇게 범인을 대하는 이유는 자신을 잘 알기 때문입니다. 그는 말합니다. “저는 인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 마음속에도 모든 악마가 들어 있지요.” 즉, 범인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는 ‘나 역시 같은 인간이기 때문’이라는 고백에서 나옵니다. 자기 안에 있는 어둠을 보았기에, 다른 이의 어둠도 직시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성경은 이런 통찰을 더 깊이 있게 보여 줍니다. 요한복음 8장에 보면, 간음하다 현장에서 잡힌 여인이 군중 앞에 끌려옵니다. 사람들은 그녀를 돌로 치라고 아우성치지만, 예수님은 침묵하시다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그 말씀에 하나둘씩 군중은 돌을 내려놓고 떠납니다. 예수님은 여인 속의 죄와 어둠을 모른 척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 안에 있는 새로운 빛을 드러내셨습니다. 죄로 인해 절망 속에 있던 여인에게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 하심으로, 그 인생에 새로운 시작을 비추신 것입니다.
어둠만 아는 사람은 사실 어둠조차 모르는 사람입니다. 빛을 알아야 비로소 어둠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빛을 창조하신 분이기에, 빛도 알고 어둠도 아십니다. 그러므로 그분의 눈길은 언제나 두 가지를 함께 봅니다. 인간의 죄와 절망이라는 어둠, 그리고 그 어둠을 뚫고 들어오는 하나님의 은혜라는 빛입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자기 안의 어둠을 직면하지 않는 사람은 다른 이의 죄를 쉽게 정죄합니다. 그러나 내 안에도 동일한 죄성이 있음을 고백하는 사람은 타인을 바라볼 때 자비와 공감의 눈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브라운 신부가 범인을 끝까지 쫓아가면서도 한 줄기 빛을 찾아내듯, 우리 또한 사람들 속에서 하나님이 남겨 두신 희망의 불씨를 발견하는 눈을 가져야 합니다.
시편 기자는 이렇게 고백합니다. “주께서 내 마음을 시험하시고 밤에 내게 오시어서 나를 감찰하셨으나 흠을 찾지 못하셨사오니 내가 결심하고 입으로 범죄하지 아니하리이다.”(시 17:3) 하나님은 우리의 마음 깊은 곳, 아무도 모르는 어둠의 자리까지도 아십니다. 그러나 그분은 우리를 정죄만 하지 않으십니다. 빛을 비추어 주셔서 우리가 어둠을 인정하고, 다시 빛 가운데 걸어가도록 이끄십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단순합니다. 자기 속의 어둠을 외면하지 말고, 예수님의 빛 앞에 서는 것입니다. 그 빛은 우리를 드러내고 부끄럽게만 하는 것이 아니라, 회복시키고 자유케 하는 빛입니다. 그리고 그 빛을 경험한 사람은 다른 이에게도 한 줄기 빛을 비춰 줄 수 있습니다.
세상은 종종 사람들을 어둠으로만 규정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어둠을 보시면서도 빛을 놓지 않으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사람들 속에서 아직 꺼지지 않은 희망을 발견하며, 주의 빛으로 서로를 비추어 주는 천국의 사냥개처럼 살아가야 하겠습니다.
'신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한 게임과 무한 게임 - 이름을 부르시는 예수님 (1) | 2025.08.29 |
---|---|
넘어감의 은혜 - 차선의 무기와 최선의 무기 (3) | 2025.08.29 |
추락과 동시에 상승 - 하나님이 주체가 되시는 믿음 (1) | 2025.08.28 |
문제와 은혜 사이에 서 있는 노아 (1) | 2025.08.28 |
나는 그리스도의 것이다 (1) | 2025.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