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속으로57 고통은 지나가고 아름다움은 남는다 우리 삶의 가장 깊은 진리 중 하나는 고통이 사라지고 난 뒤에야 남는 것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은 단순한 아픔이 아니라, 아픔을 통과하면서 다듬어진 우리 본연의 모습, 그리고 그 속에서 빛나는 아름다움입니다.페마 초드론의 이야기는 이를 잘 보여줍니다. 그녀는 미국의 상류 사회에서 누릴 수 있는 교육과 가정, 안정된 직업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남편의 배신으로 인해 하루아침에 모든 것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두 번째 이혼은 단순한 관계의 끝이 아니라, 그녀의 인생 전체를 송두리째 흔드는 사건이었습니다. 상처는 깊었고, 고통은 벗어나기 어려운 그림자처럼 따라다녔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절망의 자리에, 그녀는 전혀 새로운 길을 발견하게 됩니다. "부정적인 감정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라는 글귀를 통해, 고통이.. 2025. 9. 28. 어느 본성을 따를 것인가 강가에서 목욕을 하려던 한 수도승은 물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전갈을 보았습니다. 그대로 두면 곧 죽을 게 분명했습니다. 연민심이 일어난 그는 손바닥으로 전갈을 건져 올렸습니다. 그러나 전갈은 고마워하기는커녕 수도승의 손바닥을 독침으로 찔렀습니다. 고통에 비명을 지르며 놓쳐버린 전갈은 다시 물에 빠졌습니다.그럼에도 수도승은 전갈을 다시 구해 올렸습니다. 하지만 전갈은 또다시 그를 찔렀습니다. 세 번째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한 남자가 소리쳤습니다. “그만 두세요! 전갈은 당신을 계속 찌를 겁니다. 그게 전갈의 본성이니까요. 괜히 자비를 베푸느라 고생하지 마세요!”그러자 수도승은 미소를 지으며 대답했습니다. “그대 말이 옳소. 전갈은 계속 나를 찌를 것이오. 그것은 전갈의 본성이기 때문이오... 2025. 9. 28. 잎새와 열매 - 열매 맺는 삶을 위하여 "좋은 열매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혀 불에 던져지느니라. 이러므로 그의 열매로 그들을 알리라."(마태복음 7:19~20)사람은 종종 무엇이 더 중요하냐는 질문 앞에 서곤 합니다. 눈에 보이는 일과 보이지 않는 일, 당장 손에 잡히는 결과와 오래 걸려야 드러나는 열매 사이에서 우리는 갈등합니다. 어느 수도원에서 제자가 존경받는 스승에게 물었습니다. “스승님, 무엇이 더 가치 있는 일입니까? 육체 노동입니까, 아니면 영혼을 돌보는 일입니까?”스승은 사람을 나무에 비유하여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육체 노동은 나무의 잎새와 같고, 영혼 돌봄은 열매와 같네. 성경은 ‘좋은 열매를 맺지 않는 나무는 다 찍어서 불에 던지리라’ 말씀했지. 그러니 무엇보다 열매를 맺는 일, 곧 영혼을 돌보는 일이 중요하네. 하지만 .. 2025. 9. 27. 황금이 든 바구니 어느 부유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자선하려는 마음으로 수도원에 황금을 가져왔습니다. 많은 사람에게는 꿈같은 선물이었겠지만, 그 황금은 수도자들에게는 전혀 필요 없는 것이었습니다. 수도원 원장은 담담하게 말했습니다. “수도자들에게는 그런 게 필요 없습니다.”황금을 내놓으려는 사람은 답답했습니다. 그래서 기도원 입구에 황금을 두고, 누구든 필요하다면 가져가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놀랍게도 그 누구도 그것을 손대지 않았습니다. 어떤 수도자는 아예 눈길조차 주지 않고 지나갔습니다. 결국 원장은 그 부자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당신의 헌납을 하나님께서 동의하셨습니다. 이제 이것을 세상에 나아가 진짜 가난한 자들에게 주십시오.”그 부유한 사람은 황금을 들고 돌아가면서, 오히려 자기보다 훨씬 부자인 사람들을 보고.. 2025. 9. 27. 이전 1 2 3 4 5 6 7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