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속으로24 즐겁고 기쁘게 사는 참 좋은 생각 우리 모두는 행복하게 살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정작 삶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아침에 눈을 뜨면 쏟아지는 일들, 불쾌한 사람과의 마찰, 계획대로 되지 않는 하루, 예기치 못한 고난이 우리를 짓누릅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우리는 종종 “즐겁게 살고 싶다”고 말하지만, 막상 그 방법을 찾지 못하고 주저앉기 일쑤입니다.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하면 우리는 즐겁고 기쁘게 살 수 있을까요? 그 핵심은 “삶의 태도”에 있습니다. 외부 환경이 즐거움을 주지 않는다면, 내부의 태도를 바꾸는 것이 진짜 기쁨으로 가는 길입니다. 기쁨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선택되고 만들어지는 것입니다.미국의 H.C. 머튼 부부는 이 원리를 몸소 실천하며 살았던 이들입니다. 그들은 고정된 자리도 없이 떠돌며 장.. 2025. 8. 7. 만남을 소중히 하기 - 인생을 바꾸는 순간들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수많은 사람들과 만나고 헤어집니다. 어떤 만남은 스쳐 지나가는 인연처럼 잠깐 머물다 가지만, 어떤 만남은 깊은 뿌리를 내려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이렇듯 만남은 단순한 일상사의 한 장면이 아니라 인생을 움직이는 방향타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만큼이나 “누구와 살아야 하는가, 누구를 만나는가”에 대해서도 깊이 고민해야 합니다.만남은 인생의 ‘빛’이 되기도, ‘그늘’이 되기도 합니다. 좋은 만남은 한 사람의 인생에 놀라운 전환점을 만들어 줍니다. 그 만남이 지친 마음을 위로하기도 하고, 절망 속에서 일어설 힘을 주기도 합니다. 반면, 잘못된 만남은 올바른 길을 가던 사람을 유혹해 어두운 길로 이끌기도 합니다. 성경 속 아합 .. 2025. 8. 4. 삶을 적시는 위로의 사람 한여름, 따가운 햇살이 머리 위를 무겁게 짓누르는 오후. 거리는 뜨겁게 달궈진 아스팔트 열기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사람들의 표정도 지쳐 보입니다. 그렇게 태양이 맹렬히 빛나는 어느 날, 나는 가까운 우체국까지 약 1km 남짓을 걸어가야 했습니다. 평소엔 거리도 짧고 운동도 될 겸 즐겁게 걷는 길이었지만, 그날만큼은 그 거리가 너무 멀게만 느껴졌습니다.화덕 앞에 앉아 있는 듯한 뜨거운 공기, 온몸에서 흘러내리는 땀, 숨이 턱턱 막히는 열기 속에 나는 몇 번이나 걸음을 멈추었습니다. 그늘을 찾아 들어가 식히고, 다시 걷고, 또 멈추는 것을 반복했습니다. 무덥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모든 것이 지치고 힘들게 느껴졌습니다. 그때였습니다. 갑자기 하늘이 어두워지더니, 굵은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어느새.. 2025. 8. 3. 사랑은 치유의 시작이다 아픈 만큼 성숙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상처가 깊고 고통이 클수록 감정의 농도는 짙어집니다. 고통의 강도가 강할수록 사랑의 깊이와 능력도 증가됩니다. 용서도 상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듯합니다. 팀 로런스는 상처가 클수록 용서를 통해 얻는 혜택도 커진다고 말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상처는 우리의 선택에 따르는 형벌이라기보다는 우리의 사랑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척도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여러 전통에서 세상을 한데 묶 는 '접착제'로 묘사한 사랑의 힘은 이 미묘한 관계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가장 강력한 치유의 힘은 우리의 사랑하는 능력 안에 있습니다. 우리는 이성적이고 사랑이 넘치는 사람들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우리 자신을 시험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인간관계와 일을 통해, 상실과.. 2025. 8. 1.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