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너를 내 손바닥에 새겼고 너의 성벽이 항상 내 앞에 있나니” (이사야 49:16)
성경은 때때로 우리를 멈춰 서게 만드는 단어로 시작합니다. 오늘 본문도 그렇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의 탄식을 들으시고 “보라!”라고 외치십니다. 한글 성경에는 번역되지 않았지만, 히브리 원문에는 이 감탄사가 분명히 자리하고 있습니다. 마치 믿을 수 없는 광경을 보았을 때 터져 나오는 놀람의 표현처럼 말입니다. 왜 하나님께서 이렇게 외치셨을까요?
그 이유는 바로 이스라엘 백성의 불신 때문이었습니다. 그들은 고난 속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호와께서 나를 버리셨다. 주께서 나를 잊으셨다.” (사 49:14) 얼마나 기막힌 고백입니까? 하나님께서 그들을 구원하시고 지켜주신 수많은 역사가 있는데도, 순간적인 시련 앞에서 백성은 곧바로 하나님을 원망하며 의심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불신앙을 보시고 탄식하십니다. “보라! 내가 너를 내 손바닥에 새겼다.”
인간의 불신은 참으로 이상합니다. 하나님이 그토록 신실하게 약속을 이루셨는데도, 우리는 작은 고난만 닥치면 쉽게 흔들립니다. 마치 햇볕이 조금 가려지면 태양이 아예 사라졌다고 오해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하나님은 영원히 꺼지지 않는 빛이신데, 우리는 하나님을 스쳐 지나가는 번개나, 이내 사라져버리는 안개처럼 취급합니다. 사실 더 놀라운 것은, 이렇게 끊임없이 의심하는 백성을 하나님께서 여전히 사랑하신다는 사실입니다. 무엇이 더 놀랍습니까? 신실하신 하나님의 사랑입니까, 아니면 그런 사랑 앞에서도 여전히 불신하는 우리의 모습입니까?
본문에서 하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보라, 내가 너를 내 손바닥에 새겼다.” (사 49:16) 여기서 눈여겨볼 점은 하나님이 단순히 우리의 이름만 새겼다고 하지 않으셨다는 것입니다. “내가 너를 새겼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이것은 단순한 명부에 적힌 이름이 아니라, 우리의 전 존재가 하나님의 손바닥에 새겨져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분의 손바닥에 새겨진 것은 나의 인격, 나의 성품, 나의 상황, 나의 눈물과 기쁨, 나의 죄와 연약함까지도 포함됩니다. 나의 모든 것을 알고, 받아들이고, 기억하시며, 결코 놓지 않겠다는 언약의 표시입니다. 고대 사회에서 손바닥에 새긴다는 것은 지울 수 없는 흔적을 의미했습니다. 즉, 하나님은 우리가 영원히 잊히지 않도록 자기 존재 속에 우리를 새겨 두셨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종종 “하나님이 나를 잊으신 것 같다”라는 생각을 합니다. 기도가 응답되지 않을 때, 삶이 고단하고 길이 막힐 때, 마음에 이런 의심이 고개를 듭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대답은 단호합니다. “어떻게 내가 너를 잊을 수 있겠느냐? 네가 내 손바닥에 새겨져 있는데.” 어머니가 자녀를 잊을 수 없듯이, 아니 그보다 더 강력하게, 하나님은 우리를 결코 버리지 않으십니다(사 49:15). 하나님의 사랑은 사막의 신기루가 아니라, 마르지 않는 생수의 근원입니다.
이 말씀은 오늘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우리는 때로 하나님이 멀리 계신 것처럼 느끼고, 시련 앞에서 두려워 떱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분명합니다. “내가 너를 새겼다. 너의 전부를 내 손바닥에 두었다.” 이 사실을 붙잡는 순간, 불안은 평안으로 바뀌고, 의심은 확신으로 바뀌게 됩니다. 하나님이 내 이름, 나의 삶, 나의 눈물, 심지어 나의 죄까지도 아시고 그 모든 것을 감싸 안으셨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왜 더 의심하겠습니까?
하나님은 우리의 이름을 넘어 우리 자신 전체를 손바닥에 새기셨습니다. 그분의 손바닥에 새겨진 존재를 잊을 리 없고, 버릴 리 없습니다. 우리가 고난 중에 기억해야 할 것은 상황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입니다. 오늘도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보라! 내가 너를 내 손바닥에 새겼다.” 그러므로 더 이상 의심하지 맙시다. 하나님을 불신하는 대신, 손바닥에 새겨진 자로서 그 신실한 사랑 안에 담대히 거합시다.
'구약 성경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의 풀무에서 연단하시는 하나님 (0) | 2025.09.29 |
---|---|
가난한 자를 멸시하지 말라 (0) | 2025.09.27 |
게으른 자와 하나님의 지혜 (0) | 2025.09.22 |
사랑의 매와 하나님의 지혜 (1) | 2025.09.21 |
다툼을 멀리하는 지혜 (0) | 202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