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려운 문제에 봉착해 잠시 그 문제를 잊어도 잠재의식은 계속 해결 방안을 모색합니다. 그리고 해결방법에 접근했을 때 갑자기 정신이 확들면서 아이디어가 떠오릅니다. 이 과정을 '성숙'이라고 하며 이 현상을 '아이디어 성숙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이 벙법은 특히 어려운 문제를 풀 때 효과가 높습니다.
우리는 종종 내용이 너무 어려워 뜻조차 파악할 수 없거나 아무리 머리를 쥐어짜도 해결방법이 안 떠오르는 문제에 부딪힐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문제해결을 위해 계속 고민해도 시간만 흘러갈 뿐 묘안이 떠오르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럴 때는 문제를 잠시 접어두고 다른 일을 하다가 다시 생각하거나 가벼운 마음으로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면 아이디어가 좀 더 쉽게 떠오를 것입니다. 생각에 몰두하거나 책상 앞에 앉아 집필할 때보다 숙면하고 난 다음 날 아침이나 맑은 날 천천히 산을 오를 때 아이디어가 더 많이 떠오른다고 합니다.
과학사를 봐도 차나 배를 타고 있을 때, 혹은 낚시나 산책할 때 떠오른 아이디어가 많습니다. 휴식하는 곳에서 영감을 얻는 경우가 비교적 많은데, 왜 그럴까요? 영감이 떠오르는 과정을 살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영감이 떠오르려면 강력한 행위적 동기와 오랜 시간 고민이 뒤따라야 합니다. 오랫동안 생각해도 묘안이 떠오르지 않으면 다른 여가 활동을 하든지 해서 좀 쉬거나 여유를 가져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아이디어 성숙' 단계입니다.
인간의 의식은 빙산과 비슷합니다. 수면 위에 떠올라 있는 것을 '의식'이라 하고, 수면 아래 가라앉아 있는 것을 '잠재의식'이라고 합니다. 전자는 사고와 토론처럼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것이지만 후자는 그렇지 않습니다. 영감은 대체로 잠재의식에서 나옵니다.
의식은 일반적이고 규칙적인 사유의 영향을 받아 자유롭게 발휘되기가 어렵지만, 영감은 틀을 깨는 일종의 깨달음이기 때문에 잠재의식의 능력이 의식보다 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문제가 잘 안 풀리거나 실패가 거듭될 때 잠시 쉬거나 운동을 하면 의식의 활동이 줄어드는데, 바로 이때 잠재의식 속에 있던 정보가 튀어나와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것입니다.
계속 붙잡고 생각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럴 때는 잠시 잊고 가벼운 일을 해보십시오. 틀림없이 생각이 정리될 것입니다. 이때 작은 노트를 준비해 순간 머리속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적어 놓으십시오. 그중에 해답이 들어 있을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과학자 뉴턴이 중력을 발견한 계기도 이런 '아이디어 성숙'의 전형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그는 사과나무 아래에서 휴식을 취하다가, 나무에서 사과가 땅으로 떨어지는 단순한 현상을 보며 '왜 모든 물체는 위가 아니라 아래로 떨어질까?'라는 질문을 떠올렸고, 그 질문은 중력이라는 위대한 발견으로 이어졌습니다. 사실 뉴턴은 이전부터 운동 법칙과 우주의 원리에 대해 오랫동안 탐구하고 있었고, 사과는 단지 그 잠재된 사고의 실마리를 터뜨린 계기였던 것입니다.
또한 독일의 화학자 케쿨레는 벤젠의 분자구조를 이해하지 못해 오랜 시간 고민하다가, 어느 날 깜빡 잠이 든 꿈속에서 뱀이 자신의 꼬리를 물고 도는 환상을 보고는, 그 모습을 통해 ‘원형 구조’의 개념을 떠올리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그의 잠재의식 속에서 숙성되고 있던 사고가 꿈이라는 틈을 통해 의식 위로 올라온 것입니다.
이처럼 복잡하고 창의적인 문제일수록, 오히려 잠시 거리를 두는 ‘지혜로운 쉼’이 필요합니다. 문제를 놓지 않으면서도 얽매이지 않는 태도, 바로 그 여백 속에서 잠재의식은 문제를 계속 품고 해답을 찾아 나갑니다.
그러니 지금 당신 앞에 놓인 어려운 과제가 너무 버겁게 느껴진다면, 잠시 책상에서 일어나 산책을 하거나, 다른 일을 하며 마음을 풀어보십시오. 그리고 작은 노트를 곁에 두고 무심코 떠오른 생각을 적어보십시오. 어쩌면 당신이 찾고 있던 해답은 이미 마음속 깊은 곳에서 준비되고 있다가, 오늘 당신이 쉼을 선택한 그 순간, 조용히 다가올지도 모릅니다.
'이야기 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AI)과 믿음의 삶 (0) | 2025.07.12 |
---|---|
명품으로의 변화-하나님의 손에 붙들린 인생 (0) | 2025.07.11 |
마음을 털어놓으면 상대방의 호감을 살 수 있다 (0) | 2025.07.11 |
보디랭귀지 효과 (0) | 2025.07.11 |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할 때 다른 것으로 대체 한다 (0)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