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국지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걸출한 인재 방통이 손권을 찾아가 동오를 위해 일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손권은 방통의 못생긴 외모만 보고 거절했습니다. 노숙이 몇 번이나 그를 등용하라고 권했지만 소용없었습니다. 손권은 방통의 외모만 보고 그의 진면목을 간과한 것입니다.
사람들은 왜 외모로 사람을 평가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첫째, 예쁜 사람을 보면 마음이 편해지고 미적인 만족감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후광효과 때문입니다. 대체로 사람들은 예쁜 사람은 다른 일도 잘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셋째는 영화나 텔레비전을 보면 사랑받는 쪽은 대부분 예쁜 사람입니다. 때문에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게 예쁜 사람이 더 사랑받을 가치가 있다고 여깁니다. 넷째는 예쁜 사람과 같이 있으면 자기도 아름답다고 느껴져 우쭐해집니다. 실제로 아름다운 이성과 같이 있으면 다른 사람에게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습니다.
예쁜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특별한 대접을 받습니다. 엄마는 늘 애지중지하고 잘못해도 심하게 야단치지 않고, 커서는 많은 이성들로부터 관심과 사랑을 받습니다. 학교에서도 선생님들은 예쁜 아이들에게 더 높은 점수를 주는 등 예쁜 사람들은 여러 가지 특혜를 누립니다.
인간관계의 초기단계에서는 외모가 비교적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이 사실입니다. 상대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눈에 띄는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입으로는 '사람을 외모로 평가해선 안 된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쉽게 외모의 '노예'가 됩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봤을 때 외모의 영향력은 한계가 있습니다. 관계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내적인 면을 더 중요시 여기게 마련입니다. 처음엔 못생겼다고 생각했던 사람도 오랫동안 만나다 보면 어느새 익숙해져 별로 못생겼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제 눈에 안경', '아름답기 때문에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기 때문에 아름다운 것이다.'라는 말도 있듯이 인간관계에서 외모가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도 예쁜 얼굴 하나만 보고 사람을 사랑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쌍둥이 중 한 명을 사랑한다고 해서 다른 한 명도 사랑할 수 있늕것은 아니듯 말입니다.
첫 만남이나 짧은 만남에서, 외모는 상대를 평가하는 데 일정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타고난 외모를 바꾸기 어렵다면 패션과 그 밖의 스타일을 변화시켜 얼마든지 상대의 호감을 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외모가 주는 매력은 결코 오래가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하십시오. 인간관계를 장기적으로 원만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모보다 내적인 매력을 키우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내적 수양을 쌓아야 진정한 매력을 발산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스티브 잡스는 애플사를 공동 창업한 뒤, 외모나 형식보다 본질에 집중하는 인재를 곁에 두는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그가 특별히 아꼈던 한 엔지니어는 겉보기엔 조용하고 무뚝뚝하며 외모도 눈에 띄지 않았지만, 누구보다 창의적이고 깊이 있는 통찰력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주변에서도 그를 별로 눈여겨보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실력과 진중한 태도에 모두가 감탄했고 결국 잡스의 수석 참모로까지 발탁되었습니다. 외모가 아닌 능력과 인품이 진정한 가치를 만들어 낸 사례입니다.
우리는 모두 외모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외모는 사람의 전부가 아니며, 결코 그 사람의 깊이와 가치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진정한 아름다움은 외적인 꾸밈이 아니라, 겸손한 태도와 성실한 삶, 남을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에서 우러납니다. 사람을 외모로 쉽게 판단해버리는 순간, 우리는 소중한 인연을 놓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진정한 인간관계는 오래 봐야 알고, 오래 만나야 사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외모의 겉껍질을 넘어, 사람의 마음과 인격을 보는 눈을 길러야 할 것입니다. 그렇게 내면을 보는 연습을 하다 보면, 언젠가 우리 자신도 진정한 아름다움을 품은 사람으로 성장해 있을 것입니다.
'이야기 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지에서 흘리는 피-팔레스타인 분쟁을 바라보는 믿음의 눈 (1) | 2025.07.12 |
---|---|
인공지능(AI)과 믿음의 삶 (0) | 2025.07.12 |
명품으로의 변화-하나님의 손에 붙들린 인생 (0) | 2025.07.11 |
아이디어는 쉴 때 자란다–창의적 해결을 위한 ‘성숙’의 법칙 (0) | 2025.07.11 |
마음을 털어놓으면 상대방의 호감을 살 수 있다 (0)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