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30

죽음에서 안식으로 “너희가 레위 사람에게 줄 성읍들 가운데서 여섯은 도피성으로 만들어서, 사람을 죽인 자가 그리로 도피할 수 있게 하고, 이 밖에 별도로 레위 사람에게 마흔두 성읍을 주어라” (민수기 35장 6절) 도피성 이스라엘에는 살인자들이 피할 수 있는 도피성이라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도피성은 레위인들이 거하는 성입니다. 이스라엘은 레위인들에게 48개의 성읍을 주었는데 그중에서 6개의 성읍이 도피성이었습니다. 그 여섯 개의 성읍은 이스라엘 어느 성읍에서든 하루에 도착할 수 있는 성읍이어야 합니다. 구약의 민수기를 보면 도피성은 우발적인 살인자들이 도망하여 피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일단 우발적 살인자들이 도피성 안으로 들어가면 그 살인자는 복수하는 자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그 도.. 2024. 3. 18.
가인이 품고 있던 살인의 동인 – 분노 가인들이 품고 있는 두 번째 살인의 동인이 분노입니다. 하나님께서 가인에게 ‘네가 왜 화를 내느냐?’라고 묻는 대목이 나옵니다. 하나님을 떠나 살인자의 삶을 살게 된 죄인들에게서 나오는 대표적인 감정이 분노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자기를 보호하기 위한 분노를 말합니다. 거룩한 분노도 있습니다. 예수님도 이 땅에 계시면서 유대인들의 외식을 보시고 분노하셨습니다. 하나님도 죄를 보고 분노하십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도 우리 안에 죄가 발견될 때 분노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분노로 죄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거룩한 분노입니다. 그러나 오직 자기 자신의 유익을 위해 내는 분노는 그것 자체가 살인의 동인이 되는 것입니다. “나는 그들의 비밀 회담에 들어가지 않으며, 그들의 회의에 끼어들지 않을 것이다... 2024. 3. 15.
가인이 품고 있던 살인의 동인 – 시기와 질투 세월이 지난 뒤에 가인은 땅의 열매를 하나님께 제물로 바쳤습니다. 아벨은 처음 태어난 아기 양과 양의 기름을 바쳤습니다. 여호와께서는 아벨과 그의 제물은 받으셨으나, 가인과 그의 제물은 받지 않으셨습니다. 가인은 매우 화가 나서 안색이 변하였습니다. 여호와께서 가인에게 물으셨습니다. '네가 왜 화를 내느냐? 왜 안색이 변하느냐? 네가 좋은 마음을 품고 있다면 어찌 얼굴을 들지 못하겠느냐? 네가 좋은 마음을 품지 않으면 죄가 너를 지배하려 할 것이다. 죄는 너를 다스리고 싶어 하지만, 너는 죄를 다스려야 한다.' 가인이 자기 동생 아벨에게 ‘들로 나가자’ 하고 말했습니다. 그들이 들에 나가 있을 때에 가인이 자기 동생 아벨을 쳐 죽였습니다. (창세기 4장 3~8절) 하나님의 저주를 받고 에덴에서 추방된 죄.. 2024. 3. 14.
가인과 아벨과 셋 “그는 주 앞에서 자라나기를 연한 순 같고 마른 땅에서 나온 뿌리 같아서 고운 모양도 없고 풍채도 없은즉 우리가 보기에 흠모할 만한 아름다운 것이 없도다. 그는 멸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버림 받았으며 간고를 많이 겪었으며 질고를 아는 자라 마치 사람들이 그에게서 얼굴을 가리는 것 같이 멸시를 당하였고 우리도 그를 귀히 여기지 아니하였도다” (이사야 53장 2~3절) 창세기의 가인과 아벨의 이야기 속에는 아벨이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를 계시하는 삶을 살았는지가 나옵니다. 먼저 아벨의 이름처럼 성경에 아무것도 아닌 사람처럼 가장 낮은 곳으로 오신 분이 계십니다. 아벨의 모습을 하신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에게 죽임을 당했습니까? 자기들이 하나님을 섬긴다고 자처하던 유대인들에게 살해당했습니다. 유대인들은 하나님께 제.. 2024.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