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52

하나님의 관점을 배우는 길 - 경험과 묵상의 영성 “내가 아무 것도 스스로 할 수 없노라. 듣는 대로 심판하노니, 나는 나의 뜻을 구하지 않고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구하노라.”(요한복음 5:30)우리가 영성 훈련을 하는 이유는 단순히 더 많은 지식을 쌓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그 목적은 하나님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그분의 시각으로 세상과 나 자신을 바라볼 수 있게 되기 위함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을 깊이 아는 길은 머리로만 이해하는 길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삶이라는 현실 속에서 경험되고, 그 경험을 묵상하는 과정을 통해 비로소 진짜 ‘앎’이 형성됩니다.아무리 신앙생활을 오래 했다고 해도 하나님과 함께 걸어본 경험이 부족하다면, 우리는 결국 자기 생각의 틀에 갇힌 신앙인이 되고 맙니다. 누군가의 말을 듣고만 ‘서울이 이렇다’고 확신하는 사람처럼 말입니다... 2025. 11. 21.
병을 통해 우리를 부르시는 하나님 - 죄, 치유, 그리고 성도의 길 “예수께서 불쌍히 여기사 손을 내밀어 그에게 대시며 이르시되 내가 원하노니 깨끗함을 받으라 하시니…”(마가복음 1:41)우리는 병을 두려워합니다. 고통 자체 때문이기도 하지만, 병은 우리의 연약함을 드러내고, 통제할 수 없는 영역을 마주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성경은 병을 단순한 불행이나 우연으로만 설명하지 않습니다. 병은 때로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시는 통로이며, 우리 영혼의 상태를 비추는 거울이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병은 영적 세계와 연결된 깊은 주제이며, 성도는 이를 가볍게 넘길 수 없습니다. 병을 통해 하나님이 우리에게 무엇을 말씀하시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떤 태도로 이 길을 걸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병과 죄는 우리의 영혼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성경은 분명히 말합니다. “한 사.. 2025. 11. 21.
성도의 몸, 하나님이 거하시는 집 “그리스도께서 너희 안에 계시면 몸은 죄로 말미암아 죽은 것이로되 영은 의로 말미암아 살아 있는 것이니라.”(로마서 8:10)우리는 흔히 영적 생활을 말할 때 영과 혼의 상태에만 집중합니다. 마음이 새로워지고, 영적 직관이 밝아지고, 양심이 살아나는 것을 “성장”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성경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의 몸이 하나님의 목적 속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도 반드시 보라고 말합니다.우리의 영이 아무리 예민해지고, 혼이 아무리 새로워져도 몸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결국 온전한 영적 사람으로 자라날 수 없습니다. 영이 길을 가려 해도 몸이 따라주지 않으면 한 걸음도 나아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특별히 “말씀이 육신이 되셨다”(요 1:14)는 진리는 인간의 몸이 하나님 앞에서 얼마나 두렵고 .. 2025. 11. 21.
진짜 친구를 분별하는 지혜, 그리고 나를 지켜내는 삶에 대하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자신에게 맞는 사람을 찾는 여정이기도 합니다. 어떤 사람을 가까이 두고, 어떤 사람과는 거리를 두어야 할지 판단하는 능력은 단순한 사회 기술이 아니라, 결국 ‘내가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고 싶은가’를 결정하는 삶의 방향성과 맞닿아 있습니다. 그래서 친구를 분별하는 일은 곧 나를 지켜내는 일입니다.사람은 누구나 좋은 말을 할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친절하고 부드러워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사람의 진짜 모습은 언제나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행동에 담겨 있습니다. 그의 말투, 선택의 방식, 약한 사람을 대하는 태도, 자신에게 이익이 없는 사람 앞에서 보이는 표정과 말입니다.특히 식당 종업원이나 배달 기사처럼 일상의 자리에서 자신에게 어떠한 이득도 주지 않는 사람.. 2025.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