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52 먹고 마시는 것이 아닌 하나님 나라 “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 안에서 의와 평강과 희락이라”(로마서 14:17)로마서 14장 17절은 하나님 나라의 본질을 단 한 문장으로 꿰뚫습니다. 당시 로마 교회는 ‘먹는 문제’와 ‘지키는 날의 문제’로 분열되어 있었습니다. 시장에 나오는 고기가 우상에게 먼저 바쳐졌다는 이유로, 그것을 먹을 수 있느냐 없느냐를 두고 논쟁이 끊이지 않았던 것입니다. 어떤 이는 “믿음이 강한 자는 아무거나 먹을 수 있다”고 했고, 또 다른 이는 “믿음이 약한 자를 위해 먹지 않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바울은 그 싸움의 본질을 꿰뚫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 나라와 상관없는 일이다. 하나님 나라는 먹고 마시는 것이 아니다.”‘먹고 마시는 것’은 단지 외형적 행위와 종교적 의식을 .. 2025. 11. 13. 삶은 우리를 속이지 않는다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 좇아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에베소서 1:2)이 세상 어느 누구가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며 “참으로 만족스러웠다”고 고백할 수 있을까요? 아마 거의 없을 것입니다. 우리 대부분은 푸쉬킨의 시처럼, 인생이 우리를 속일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느끼며 살아갑니다. 내가 원한 대로 흘러가지 않는 현실, 이해할 수 없는 고통의 시간들, 억울한 상처들… 우리는 그 모든 것의 배후에 ‘삶’이라는 이름으로 어떤 힘 있는 존재를 향해 섭섭함을 토로합니다.“왜 나에게 이런 일이 생기지?” “왜 나는 이런 집, 이런 부모, 이런 시대에 태어났을까?” “왜 내 인생은 이렇게 복잡하고 불공평할까?” 이런 질문들은 단순히 현실에 대한 불평이 아닙니다. 그 이면에는, 삶을 주.. 2025. 11. 13. 옷을 벗지 못하는 사람들 “이 복음은 하나님이 선지자들로 말미암아 그의 아들에 관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라 이 아들로 말하면 육신으로는 다윗의 혈통에서 나셨고 성결의 영으로는 죽은 가운데서 부활하여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되셨으니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시니라.”(로마서 1:2~4)우리는 모두 옷을 입고 삽니다. 그러나 성경이 말하는 옷은 단순히 겉옷이 아닙니다. 그것은 ‘자기 의’라는 옷, 곧 스스로를 정당화하고 아름답게 보이려는 인간의 본성을 뜻합니다. 세상은 각자의 방식으로 그 옷을 벗으려 애씁니다. 불교는 수행으로, 철학은 깨달음으로, 인본주의는 교육과 도덕으로, 심지어 종교마저도 ‘행위’와 ‘노력’으로 스스로를 정화하려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옷을 벗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두꺼운 옷을 껴입는 일입니다.. 2025. 11. 13. 실질적인 지식으로 무장하라 “지혜는 그 얻은 자에게 생명 나무라 지혜를 가진 자는 복되도다.”(잠언 3:18)지혜로운 사람은 단순히 책에서 얻은 지식을 자랑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삶의 현장에서 부딪히며 배우고,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통찰을 얻습니다. 참된 지혜는 머릿속의 정보가 아니라, 현실 속에서 그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우리는 종종 ‘배운 대로만’ 하려는 사람을 봅니다. 그러나 세상은 교과서 속처럼 움직이지 않습니다. 상황은 늘 예기치 않게 바뀌고, 사람의 마음은 계산처럼 단순하지 않습니다. 이때 필요한 것은 이론이 아니라 실질적인 지식, 즉 삶 속에서 길러진 감각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그 감각을 통해 언제 말을 해야 하고, 언제 침묵해야 하는지를 압니다. 그들은 한마디 말로 분위기를 바꾸고, 조용한 미.. 2025. 11. 13.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