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52 가난한 자로 사는 영광, 성실하게 사는 은혜 우리는 언젠가, 이 땅의 모든 한계를 넘어 진리로 소통하며 영원히 헤어지지 않을 날을 맞이하게 됩니다. 하나님을 온전히 알고, 서로를 온전히 아는 그 날. 그러나 하나님은 그날을 기다리는 동안 이 땅의 삶이 영원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깊이 체감하는 시간들을 허락하십니다. 그것은 절망하라는 뜻이 아니라, “그러니 지금을 가볍게 살지 말라”는 하나님의 배려입니다.복음을 올바로 이해했다고 하면서, 현실을 불성실하게 여기고, 책임을 회피하고, 심지어 방종으로 흘러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복음을 제대로 이해한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을 ‘가치 없는 곳’으로 만들지 않으셨습니다. 이 세상은 하나님을 배우는 학교이며, 하나님 나라를 연습하는 장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실하게, .. 2025. 11. 16. 선으로 악을 이기라 우리는 “선하게 살아라”라는 말을 들으면 자연스럽게 도덕적·윤리적으로 바르게 살라는 뜻으로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성경이 말하는 ‘선’은 우리가 아는 ‘착함’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성경 속의 ‘선’과 ‘악’을 우리가 현대식 사전 개념으로 이해하면 성경의 핵심 메시지를 완전히 놓쳐 버릴 수 있습니다.그래서 하나님은 우리에게 아주 오래 전, 전혀 다른 언어와 전혀 다른 문화 속에서 말씀을 주셨습니다. 그때 사용된 ‘선’이라는 단어는 오늘 우리가 쓰는 말과 결코 같은 개념이 아닙니다. 그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성경은 금방 ‘오해의 책’이 되어버립니다.세상은 자기들끼리 합의해서 무엇이 선인지, 무엇이 악인지 정해 왔습니다. 법과 윤리, 관습과 문화 안에서 기준을 만들며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사람이 만든 .. 2025. 11. 16. 선으로 악을 이긴다는 것 우리는 종종 성경의 말씀중 익숙하게 “선으로 악을 이기라” 는 말을 너무 자주 듣다 보니, ‘착하게 살아야지’, ‘나쁜 생각을 줄여야지’, ‘선행을 많이 해야겠지’ 정도로 가볍게 이해해 버립니다. 그런데 이 정도라면, 사실 불교·유교·이슬람과 다를 게 없습니다. 모든 종교가 “바르게 살자, 착하게 살자”를 말합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기독교는 뭐가 다른 걸까요? 왜 우리는 예수님을 믿어야만 하는 걸까요?이 질문 앞에서 우리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믿음이란 무엇인가? 기독교란 무엇인가? 우리가 부르는 “하나님”은 과연 누구인가? 성경은 우리를 단순한 도덕이나 윤리의 자리로 부르지 않습니다. 성경은 우리를 창세기 1장 1절로 되돌립니다.모든 시작점은 창세기 1장 1절입니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2025. 11. 16. 말을 아끼는 사람만이 지키는 것들 우리는 종종 누군가에게 인정받고 싶은 마음 때문에, 혹은 마음속의 열정이 넘쳐서 아직 완성되지 않은 계획을 서둘러 드러낼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서두름은 언제나 약점을 만듭니다. 계획이란 아직 ‘형체를 갖추지 못한 새’와 같습니다. 둥지에서 충분히 자랄 시간을 주지 못하면, 제대로 날아오르기도 전에 바람에 떨어져 버립니다. 우리의 말도 그렇습니다. 완성되지 않은 말은 자신을 드러내는 동시에 스스로를 취약하게 만듭니다.사람은 자신이 듣는 것보다 말하는 것에서 더 많은 실수를 범합니다. 말은 생각보다 빠르게 흘러나오고, 우리는 그것을 되돌릴 힘이 없습니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지혜로운 이들은 ‘말을 아끼라’고 가르쳤습니다. 말을 아끼는 것은 침묵을 사랑해서가 아닙니다. 자신의 마음과 계획을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2025. 11. 1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