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52 다니엘 - 하나님의 글씨, 사람의 두려움 "벨사살 왕이 그의 귀족 천 명을 위하여 큰 잔치를 베풀고 그 천 명 앞에서 술을 마시니라. 그 때에 사람의 손가락들이 나타나서 왕궁 촛대 맞은편 석회벽에 글자를 쓰는데 왕이 그 글자 쓰는 손가락을 본지라 이에 왕의 즐기던 얼굴 빛이 변하고 그 생각이 번민하여 넓적다리 마디가 녹는 듯하고 그의 무릎 이 서로 부딪친지라 왕이 크게 소리 질러 술객과 갈대아 술사와 점쟁이를 불 러오게 하고 바벨론의 지혜자들에게 말하되 누구를 막론하고 이 글자를 읽고 그 해석을 내게 보이면 자주색 옷을 입히고 금사슬을 그의 목에 걸어 주리니 그를 나라의 셋째 동치자로 삼으리라 하니라 그 때에 왕의 지혜자가 다 들어 왔으나 능히 그 글자를 읽지 못하며 그 해석을 왕께 알려 주지 못하는지라. 다 니엘이 왕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왕의.. 2025. 8. 12. 복음 전파의 부르심 사도 바울은 로마서 1장 1절에서 이렇게 고백합니다. “하나님의 복음을 위해 택정함을 입었으니.”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사실을 배웁니다. 주님은 우리를 먼저 ‘거룩한 사람’이 되라고 부르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는 자로 부르셨다는 것입니다.그렇다면 복음의 핵심은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복음을 ‘착하게 사는 법’이나 ‘천국에 가는 길’ 정도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성경이 말하는 복음의 중심은 바로 ‘구속’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이루어진, 죄인을 대신한 속죄의 사건이 복음의 실체입니다.문제는 오늘날 많은 사역자들이 ‘구속’을 아는 것보다 ‘거룩해 보이는 것’에 더 집중한다는 점입니다. 마치 신앙의 목적이 ‘착하고 흠 없는 사람이 되는 것’인 양 말입니다. 그러나 바울은 그렇게 살지.. 2025. 8. 12. 주님, 말씀하소서 “사무엘이… 그 이상을 엘리에게 알게 하기를 두려워하더니”(삼상 3:15)하나님은 종종 번쩍이는 표적이나 큰 기적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로서는 오해하기 쉬운 아주 평범한 방식으로 말씀하십니다. 그래서 우리는 때로 “이게 정말 하나님의 음성일까?” 하고 의문을 품습니다. 이사야가 “강한 손으로”(사 8:11) 섭리를 통해 강권하셨다고 고백한 것처럼, 하나님은 우리의 일상과 사건 속에서 조용하지만 분명하게 손길을 더하십니다.문제는 우리가 그것을 우연으로 치부하느냐, 아니면 하나님의 음성으로 분별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주님, 말씀하소서”(삼상 3:9)라는 태도는 단순한 기도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알아차리고 응답하겠다는 삶의 자세입니다. 이 태도가 자리 잡으면, 우리의 인생은 하나님과 함께하는 ‘사랑의 .. 2025. 8. 12. 오해는 서로에게 치명적인 독과 같다 오해는 마치 서서히 번지는 독과 같습니다. 겉으로는 아무 일 없는 듯 보여도, 속에서는 관계를 썩게 만들고 결국 무너뜨립니다. 문제는 오해가 아주 사소한 일에서 시작된다는 점입니다. 작은 말 한마디, 표정 하나, 문장의 어조가 잘못 전달되면 그 틈에 오해가 스며듭니다. 처음에는 별것 아닌 듯 보여도, 풀지 않은 오해는 점점 부풀어 올라 큰 갈등이 되고, 심하면 관계를 완전히 끊어놓기도 합니다.오해는 왜 이렇게 쉽게 생길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우리는 완전하지 않은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대화 속에서 모든 정보를 다 전달하지 못하고, 상대의 말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그러다 보니 빈칸을 자기 방식대로 채워 넣습니다. 피곤하거나 기분이 좋지 않은 날이면 그 빈칸은 더 어둡게 채워집니다. 그게 바로 오.. 2025. 8. 12. 이전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