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52

자신을 무시하는 사람을 알아보고 단호하게 서는 법 “너희는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말라.” (갈라디아서 5:1)우리의 일상 속에는 겉으로는 친절하지만 마음속으로는 남을 깔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직접적인 폭력을 쓰지는 않지만, 말과 태도로 상대를 ‘아래로’ 두려 합니다. 교묘히 무시하고, 가볍게 대하며, 나의 존재감을 희미하게 만듭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런 상황 속에서 가장 먼저 자신을 공격하는 사람은 ‘나 자신’인 경우가 많습니다.누군가 나를 함부로 대했을 때, 우리는 종종 이렇게 생각합니다. “내가 더 잘하면 되겠지.” “내가 괜히 예민했나 봐.” 하지만 이런 생각은 대부분 ‘내 안의 메아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그 메아리는 과거 누군가 나에게 던졌던 말들, “넌 원래 그런 애야”, “네가 뭘 알아?” 같은 상처의 언어가 지금도 내 마.. 2025. 10. 14.
소수에서 다수로 전파되어 완성되는 하나님 나라의 원리 우리에게 하나님 나라의 원리는 종종 역설적으로 다가옵니다. 세상에서는 큰 무리, 힘 있는 다수, 권력과 영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하나님은 단 한 사람, 단 한 의인으로 역사를 시작하십니다.창세기 7장 1절을 보면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보니, 이 세상에 의로운 사람이라고는 너밖에 없구나. 너는 식구들을 다 데리고, 방주로 들어가거라.” 여기서 우리는 흥미로운 원리를 발견합니다. 세상은 수많은 사람 가운데 노아 한 사람만 의롭다고 평가되었지만, 그 한 사람의 순종과 믿음을 통해 온 가족이 구원받았습니다.이는 단순히 ‘가족 구원’의 원리가 아닙니다. 한 의인의 삶이 다른 이에게 구원의 통로가 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노아의 믿음은 방주를 통해 물리적 구원을 가져왔지만, 더 깊이 보면, 의인.. 2025. 10. 13.
고난과 상처를 잊어버리는 방법 "날마다 주님께로 나아가 생수로 목마름을 채우십시오. 그리고 고난과 상처가 하늘의 상급이 되게 하십시오."이스라엘 백성이 광야를 지날 때, 하나님은 그들에게 단순한 이동 경로만 주신 것이 아니라 진의 질서와 방향까지 세밀하게 명하셨습니다. 그 중심에는 언제나 성막, 곧 하나님의 임재가 있었습니다. 그분의 임재가 중심이 되지 않으면, 아무리 화려한 지파라도 방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질서 속에 하나님은 우리 삶의 방향 또한 말씀하십니다. “내가 너의 중심이 될 때, 네 인생은 길을 잃지 않는다.”서쪽 진영의 중심에는 므낫세 지파가 자리했습니다. “므낫세”라는 이름은 요셉이 애굽에서 낳은 첫째 아들의 이름으로, 그 뜻은 “하나님이 나로 하여금 잊게 하셨다” 입니다(창세기 41:51).요셉의 인생은 상처로.. 2025. 10. 13.
세상의 모든 일은 결국 합당하게 이루어진다 “하늘의 그물은 드문드문 성긴 것 같지만, 어느 것 하나 빠뜨리는 것이 없다.” 세상을 살다 보면, 착하게 사는 사람보다 오히려 거짓되고 교만한 사람이 더 잘되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는 종종 이렇게 말합니다. “세상은 참 불공평해.” 어떤 이들은 하늘을 원망하고, 어떤 이들은 운명 탓을 합니다. 마치 하늘이 너무 넓어서, 모든 일을 다 챙길 수 없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우리는 깨닫게 됩니다. 하늘의 그물은 성긴 것 같지만, 결국 아무것도 빠뜨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세상의 모든 일은 결국 합당한 결과로 돌아옵니다. 악한 사람의 성공은 잠시뿐입니다. 겉으로는 화려해 보여도 그 속에는 늘 불안과 두려움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스스로는 감추지만, 남모를 고통과 .. 2025. 10. 13.